이화 문백 (이존연)
- 배꽃이 만발한 깊은 밤, 밝은 달과 빛나는 은하수(삼경)(시각적 흰색의 이미지)
- 자규는 가지로 (연결된) 봄(춘심)의 마음을 알까?
- 친절은 병인 것 같아서 (나는) 잠을 못 잔다.
화사한 봄밤에 잠 못 이루는 화자는 흔들리는 나뭇가지에서 봄을 느낀다.
이렇게 보면 ‘일지춘심’은 봄날의 설렘으로 해석할 수 있다.
그러나 대부분의 참고서는 『일지춘심』을 슬픔의 감정으로 해석한다.
슬픔은 슬픈 감정이므로 문맥상 불편한 해석이 될 수 있습니다.
그러나 이렇게 해석한 이유는 작가가 고향에서 왕을 걱정하는 노래로 착각했기 때문이다.
까마귀 눈과 비 (박팽년)
- (까마귀는) 눈과 비 때문에 하얗게 보이지만 검은색입니다.
(검은 본성을 숨기는 자) - 밤에 밝게 빛나는 (달) (반투명 달)은 밤에 어둡습니까? (시련 속에서도 빛나는 화자, 왕의 지혜)
- 왕(왕)을 향한 (나의) (완악함)을 시정하시겠습니까?
겉으로는 충신 행세를 하지만 검은 욕심이 가득한 사기꾼을 ‘까마귀’에 비유하고, 절규하는 사람이 힘을 얻어 어려운 시기에 충성하는 작가 같은 충신을 비유하여 왕에 대한 충성을 강조한 작품이다.
밝은 달. .
우리 헤어지던 날 (홍서봉)
- 헤어지는 날 피눈물이 났을까?
- 압록강의 흐르는(흐르는) 물은 전혀 푸른색이 아니다(물은 눈물로 색이 변한다, 과장)
- (머리)배에 탄 허연(늙은) 뱃사공은 (오래 살았지만) 이런 현상을 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.
임씨와 작별을 고하는 날 화자는 강물에서 눈물을 흘린다.
눈물이 너무 많아 푸른 강물이 희석되어 색을 잃었습니다.
뱃사공도 오래 살았지만 그런 건 처음 본다며 놀라워했다.
병자호란 때 두 왕자를 청나라에 보냈을 때 작가가 느꼈던 슬픔을 그린 작품이다.
농부의 집에 편지를 써라(이덕무)
- 아침해가 붉게 물들자 소 떼가 흩어지고 길은 콩깍지 더미 옆으로 갈라진다.
: 시골 아침의 아름다운 풍경을 시각적으로 표현 - 파란 하늘이 가을이 찾아온 산봉우리(초록)를 물들이려는 듯하고, 비 온 뒤 맑은 하늘에 떠 있는 구름이 먹음직스러워 보인다.
: 가을의 맑은 자연을 표현합니다.
특이한 점은 구름을 세련되게 표현했다는 점이다. - 갈대밭에 햇살이 환히 내리쬐고, 기러기는 놀라 일어서고, 바람은 벼잎을 타고, 붕어는 웅성거린다.
: 풍경의 모습이 시각적, 청각적으로 그려지며, 붕어의 모습도 역동적이다. - 산 중 양지바른 곳에 지은 집에 살고 싶어서 농부에게 반이라도 빌려 달라고 부탁해야 합니다.
: 농촌생활을 하고 싶은 화자의 심정이 드러난다.
모든 감각적 이미지를 동원하여 아름다운 풍경의 이미지를 구현하였다.
계절감은 가을로 노골적으로 표현했고, ‘벼’ 잎사귀에 부는 바람 소리를 통해 가을의 정취를 느낄 수 있다.
마지막 부분에는 조선의 현실을 직시해야 했던 실학자가 아닌 농부에게 땅을 빌린다는 말이 있다.
농부가 그 말을 들으면 ‘내가 송곳을 꽂을 땅이 있습니까?’라고 물을 것이기 때문입니다.
하지만 전원 생활의 설렘을 이야기하는 밝은 시이기 때문에 이해할 수 있다.